*G1, G2, G3, G4, P1A[8] § G1, G2, G3, G4, G9P1A[8] 혈청형은 한국에서 2008년 3월부터 2010년 2월까지 로타바이러스 위장관염으로 입원한 만 5세 미만 영유아에서 검출된 로타바이러스 혈청형의 98.66%에 해당되었습니다.3
‡[Study Result] G genotype은 G1(51.5%), G3(24.0%), G4(15.4%), G9(6.4%), G2(4.7%) 순으로 나타났고, P genotype은 P[8] (72.6%), P[6](19.1%), P[4](6.0%) 순으로 나타났습니다.3
※ 2008년 3월부터 2010년 2월까지 로타바이러스 위장관염으로 입원한 만 5세 미만 영유아 745명 대상으로 2년간의 로타바이러스 혈청형 분포 동향을 조사한 연구 결과3
※ 로타텍®은 영아에서 G1, G2, G3, G4, G9P1A[8] 혈청형 로타바이러스에 의한 위장관염 예방에 허가받았으며, 다른 백신과 마찬가지로 모든 투여자에서 완전한 예방 효과를 보이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Study design a. 이 연구는 로타텍과 로타릭스 백신이 국내 도입된 지 2년째 사람 로타바이러스 균주의 유전자형 분포 경향성을 평가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2008년 3월부터 2010년 2월까지 서울, 인천, 강원도에 위치한 3개의 대학병원에 급성 위장관염으로 입원한 5세 미만의 어린이들로부터 745개의 대변 샘플을 수집하였다. 대변 샘플에서 얻은 299개의 로타바이러스 양성 검체에 대한 사람 로타바이러스의 유전형 분석을 수행하였다.3
References 1. Angel J, Franco MA, Greenberg HB. Rotavirus vaccines: recent developments and future considerations. Nat Rev Microbiol. 2007;5(7):529–539. 2. CDC. CDC> The Pink Book Home> Epidemiology and Prevention of Vaccine-Preventable Diseases. The Pink Book: Course Textbook - 14th Edition (2021). Available at <https://www.cdc.gov/vaccines/pubs/pinkbook/index.html> Accessed May 15, 2023. 3. Shim JO, et al. Distribution of rotavirus G and P genotypes approximately two years following the introduction of rotavirus vaccines in South Korea. J Med Virol.
2013;85(7):1307-12.
로타텍® 주요 안전성 정보 (Selected safety information) [효능·효과] 영아에서 G1, G2, G3, G4, G9P1A[8] 혈청형 로타바이러스에 의한 위장관염 예방 [용법·용량] 1. 경구 투여용으로만 사용하고 주사용으로 사용하지 말 것. 이 백신은 매 회차에 1튜브(2 ml) 전량을 경구 투여하고, 3차에 걸쳐 투여한다. 1차 투여는 생후 6~12주에 하고, 이후 각 투여 간 4주 내지 10주의 간격을 두고 추가 투여한다. 3차 투여는 생후 32주를 넘어서는 안 된다. 이 백신 투여 전후에 영아의 음식 또는 음료(모유포함) 섭취에 있어 특별한 제한은 없다. 2. 백신 투여방법. 이 백신은 바로 경구 투여할 수 있도록 비틀어서 여는 뚜껑의 플라스틱 튜브(라텍스 성분이 없는)에 개별 포장되어 있다. 백신이 담긴 튜브는 파우치 포장에 싸여있다. [일반적 주의] 면역결핍 가능성이 있는 영아들에 대한 이 백신의 안전성 또는 유효성과 관련된 임상시험 결과는 없다; 1) 혈액질환, 백혈병, 모든 종류의 림프종 또는 골수나 림프계에 영향을 미치는 악성종양이 있는 영아. 2) 면역억제치료(고용량의 전신 코르티코스테로이드 투여 포함)를 받고 있는 영아. 국소 코르티코스테로이드나 흡입 스테로이드 제제로 치료를 받고 있는 영아에게는 이 백신을 투여할 수 있다. 3) HIV/AIDS 환자 또는 HIV에 감염 소견이 관찰되는 등 원발성 혹은 후천성 면역결핍 상태에 있는 영아, 세포성 면역 결핍증, 저감마글로불린혈증 및 이상감마글로불린혈증인 영아. HIV/AIDS 산모에게서 태어나 HIV 상태가 불확정된 영아에게 이 백신이 투여 가능한지를 뒷받침하는 충분한 임상시험 자료는 없다. [사용상의 주의사항] 1. 다음 영아에는 투여하지 말 것. 1) 이 백신의 성분에 대해 과민반응의 기왕력이 있는 영아. 2) 이 백신 투여 후 과민반응이 의심되는 영아에게는 추가적인 투여를 실시해서는 안 된다. 3) 선천성 복부질환, 복부수술, 장중첩증의 병력을 가진 영아. 4) 급성 위장관 질환, 만성 설사로 성장지연이 있는 영아. 5) 면역 결핍이 있거나 의심되는 영아. 6) 중증혼합면역결핍증(SCID)이 있는 영아. 시판 후 중증혼합면역결핍증 영아에게 백신바이러스 관련 위장관염이 보고되었다. [약물이상반응] 1) 빈번히 보고된 이상반응 : 체온 상승, 구토, 설사, 보챔(irritability). 2) 매 투여 후 42일 이내에 백신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위약군보다 높게 나타난 이상반응 : 설사, 구토, 중이염, 비인두염, 기관지경련 [약물상호작용] 1. 방사선 치료, 항대사체, 알킬화제, 세포독성약물 및 코르티코스테로이드제(생리적 용량보다 고농도로 사용 시)와 같은 면역억제치료는 백신에 대한 면역반응을 감약할 수 있다. 2. 이 백신은 디프테리아-파상풍 톡소이드 및 백일해 백신(DTaP), 불활화 혹은 경구용 소아마비 백신(IPV 혹은 OPV),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b형 접합백신(Hib), B형 간염백신, 폐렴구균 접합백신, 뇌수막구균 백신, 6가 백신들과 함께 접종할 수 있다. 경구용 소아마비 백신과 이 백신의 병용 투여로 인해 소아마비 항원에 대한 면역반응이 달라지지 않는다. 경구용 소아마비 백신과의 병용으로 인해 로타바이러스 백신에 대한 면역반응이 다소 감소된다고 해도, 로타바이러스 중증 위장관염에 대해 예방 효력이 높은 수준으로 유지된다는 근거가 있다. 이 백신 투여 2주 후에 경구용 소아마비 백신을 투여할 경우, 이 백신의 면역반응은 영향받지 않는다. [영유아에 대한 투여] 생후 6주 미만의 영아 및 생후 32주 초과의 영아에 대한 이 백신의 안전성 및 유효성은 확립되지 않았다. 조산아에게 태어난 날로부터의 주수에 따라 이 백신을 투여할 수 있는 근거 자료가 있다. 조절이 가능한 위식도역류병(GERD: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이 있는 영아에게 이 백신을 사용할 수 있음을 뒷받침하는 임상시험 자료가 있다. [임부 및 수유부에 대한 투여] 이 백신은 소아용 백신이며 성인에서의 용법은 없다. 개정년월일 : 2021년 5월 6일
※ 다른 백신과 마찬가지로, 로타텍이 모든 투여자에서 완전한 예방 효과를 보이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보다 자세한 정보는 의료전문인과 상의해주시기 바랍니다.
부작용이 있을 수 있으니 「사용상의 주의사항」을 잘 읽고 의사, 약사와 상의하십시오. 인터넷 의약품 판매행위는 불법입니다.
아래 링크를 연결하실 경우 MSD의 사이트가 아닌 외부 사이트로 이동합니다. MSD는 해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컨텐츠에 대해 책임 지지 않습니다.
이동을 원하실 경우 링크를 클릭해주시기 바랍니다. [제품설명서전문확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