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가* 로타바이러스 백신
로타텍®입니다.
- 로타텍®은 어린이가 생활 속에서 가장 많이 노출될 수 있는 5가지* 혈청형을 직접 포함하고 있는 다가 백신으로, 로타바이러스에 의한 위장관염 예방에 적응증이 있습니다.1
- 국내에서 유행(2008년 3월~2010년 2월)했던 로타바이러스 17가지 혈청형 중 로타텍®의 5가지* 혈청형이 차지하는 예방 범위는 약 99%§였습니다.2,a

로타텍®은 3회 접종 후
실제 진료 환경에서 높은 예방 효과**를 보였으며,3,b
초등학교 저학년(만 7세)까지 장기적으로 효과†가 유지되었습니다.4,c


- 로타텍® 1차 접종 14일 후부터 예방 효과#가 시작되었으며, 입원 및 응급실 방문은 0건¶으로 확인되었습니다.5,d
- 로타텍®은 뉴질랜드의 실제 진료 환경에서도 92.6%의 높은 예방 효과**가 확인되었습니다.3,b
- 로타텍®은 3회 접종 후 만 7세까지 장기적으로 예방 효과†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4,c

빠른 접종 일정이라면 14주 만에
3회 접종을 완료할 수 있습니다.
- 생후 6주부터 1차 접종을 시작할 수 있으며, 생후 32주 안에 3회 접종을 완료해야 합니다.
- 로타텍®은 다른 영유아 국가예방접종 백신과 접종 일정이 비슷하여 내원 예약이 편리합니다.6
- 단맛이 나는 용액 (자당 및 포도당)은 영유아들의 주사 통증을 완화해 줄 수 있습니다.7,e

국가예방접종에 해당하는 5가 백신* 로타텍®
3회 모두 무료 접종 가능합니다!6,8,9

※ 한국에서 2008년 3월부터 2010년 2월까지 로타바이러스 위장관염으로 입원한 만 5세 미만 영유아 745명 대상으로 2년간의 로타바이러스 혈청형 분포 동향을 조사한 연구 결과2
※ RV5 백신 도입 이후 효과 및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해 시행된 뉴질랜드 후향적 코호트 연구 결과3
※ 미국 질병관리본부(CDC)에서 로타바이러스 백신의 장기간 유효성을 평가하기 위해 시행한 연구 결과4
※ 건강한 영아 7만여명을 대상으로 시행한 대규모 위약 대조 임상 REST 후속 연구 결과5
* G1, G2, G3, G4, P1A[8] § G1, G2, G3, G4, G9P1A[8] 혈청형은 한국에서 2008년 3월부터 2010년 2월까지 로타바이러스 위장관염으로 입원한 만 5세 미만 영유아에서 검출된 로타바이러스 혈청형의 98.66%에 해당되었습니다.2 ** 예방 효과는 백신 접종 코호트와 미접종 코호트 간의 로타바이러스 위장관염 입원 발생률 비율을 계산하여 평가되었습니다.3 † 다음의 공식을 사용하여 로타바이러스 관련 입원 및 응급실 방문 시 로타바이러스 백신의 예방 효과를 추정하였습니다 : VE = (1-odds ratio) x 100.4 # 예방 효과는 G1-G4 로타바이러스 급성 위장관염으로 인한 입원 및 응급실 방문 감소율로 측정되었습니다.5 ¶ n/N=0/29,417 vs. placebo, n/N=15/29,434; 95% CI efficacy, 72-100%5
※ 로타텍®은 영아에서 G1, G2, G3, G4, G9P1A[8] 혈청형 로타바이러스에 의한 위장관염 예방에 허가받았으며, 다른 백신과 마찬가지로 모든 투여자에서 완전한 예방 효과를 보이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이 백신은 매 회차에 1 튜브(2 ml) 전량을 경구 투여하고, 3차에 걸쳐 투여합니다. 1차 투여는 생후 6~12주에 하고, 이후 각 투여간 4주 내지 10주의 간격을 두고 추가 투여합니다. 3차 투여는 생후 32주를 넘어서는 안 됩니다. 1회 또는 2회의 투여가 어느 정도의 예방 효과를 가져오는지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진 바 없습니다.
※ 질병관리청의 국가예방접종사업 관리지침에 따르면, 로타텍®의 표준 접종 일정은 생후 2,4,6개월입니다.8
Study design a. 본 연구는 로타텍과 1가 로타바이러스 백신이 국내 도입된 지 2년째 사람 로타바이러스 균주의 유전자형 분포 경향성을 평가하기 위해 진행되었습니다. 2008년 3월부터 2010년 2월까지 서울, 인천, 강원도에 위치한 3개의 대학병원에 급성 위장관염으로 입원한 5세 미만의 어린이들로부터 745개의 대변 샘플을 수집하였습니다. 대변 샘플에서 얻은 299개의 로타바이러스 양성 검체에 대한 사람 로타바이러스의 유전형 분석을 수행하였습니다.2 b. 본 연구는 뉴질랜드에서 수행된 후향적 코호트 연구로, RV5 백신 국가 예방 접종 도입 이후 장중첩증, 로타바이러스 및 모든 원인에 의한 위장염 입원의 역학에 미친 영향을 평가하여 백신의 안전성과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진행되었습니다. 4개의 국가 데이터베이스(the National Minimum Dataset (병원 퇴원 기록 포함), the National Health Index (인구 통계 정보 포함), the National Immunisation Registry (예방접종 기록 포함), 인구조사 자료(2006-2013년)) 에서 추출 데이터로 6세 미만의 723,695명 아동이 포함되었습니다. 전체 코호트 중 RV5 백신을 접종받은 환자수는 97,089명(1회차), 85,144명 (2회차), 64,962명 (3회차)이었으며, 각각 생후 6주, 3개월, 5개월에 접종받았습니다. 주요 연구 결과는 장중첩증, 로타바이러스, 전체 위장염으로 인한 입원이었으며 장중첩증 입원의 경우 2006-2016년 동안 3세 미만 아동에서, 로타바이러스와 전체 위장염 입원의 경우 2011-2016 동안 6세 미만 아동에서 분석되었습니다.3 c. 본 다기관, 능동 감시 연구는 다양한 인구통계학적 및 세속적인 측면에서 급성 위장관염으로 인한 입원 및 응급실 방문 예방에 대한 1가 및 5가 RV 백신 유효성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습니다. RV 2개 시즌(2012년, 2013년) 동안 7개의 의료기관에서 급성 위장관염으로 입원하거나 응급실에 내원한 소아를 대상으로, 대변 검체에서 효소 면역분석법을 이용하여 RV 검사 및 유전자형을 분석하였고, RV 양성인 경우와 RV 음성인 급성 위장관염 대조군에 대해 RV 백신 접종 이력을 비교하였습니다. RV5 특이적 VE 분석에는 RV 양성 402명과 RV 음성 AGE 대조군 2,559명이, RV1 특이적 VE 분석에는 RV 양성 100명과 RV 음성 AGE 대조군 804명이 포함되었습니다. 백신 유효성은 백신 접종 횟수, 계절, 임상 환경, 연령, 우세한 유전자형 및 인종별로 계층화하여 각 백신 별 RV 관련 입원 및 응급실 방문 예방으로 계산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백신 유효성은 충분한 데이터로 분석이 가능했던 각 연도에서 관찰되었습니다 (5가 백신의 경우 7년)4 d. 본 연구는 로타바이러스의 효능 및 안전성을 평가한 연구(REST)의 사후 분석으로 REST는 대규모 위약 대조 다기관 무작위 임상시험이며, 약 70,000명의 영유아가 연중 등록되었습니다. 생후 6주~12주의 건강한 영아를 1:1로 무작위 배정하여 RV5 또는 위약을 3회 경구 접종했습니다. 1회차~2회차 사이에는 29,417명의 백신 투여군과 29,434명의 위약 투여군이, 2회차~3회차 사이에는 29,496명의 백신 투여군과 29,565명의 위약 투여군이 포함되었습니다. 1차 평가 변수는 RV5 또는 위약 3회 모두 접종한 유아에서 RV5 투여 횟수 별 RVGE 관련 입원 및 응급실 방문 비율 감소에 대한 유효성 평가였으며, 각각 1회차 밎 2회차 투여 후 2주부터 후속 투여 시까지 발생하는 사건(분석 A)과 1회차 및 2회차 투여 후 2주부터 후속 투여 후 2주까지 발생하는 사건(분석 B)을 분석하였습니다.5 e. 본 연구는 어린이와 성인에서 백신 주사와 관련된 통증을 줄이기 위한 중재 방법 및 약물요법의 효과와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된 체계적 문헌고찰 연구입니다. 콘텐츠 전문 지식을 바탕으로 저자들이 학술 사서와 상담하여 개발한 검색 전략을 사용하여 2015년 2월 26일부터 데이터 베이스 EMBASE, Medline, PsycINFO, CINAHL, ProQuest Dissertations & Theses Global를 대상으로 포괄적인 문헌 검색을 수행하였습니다. 55개의 연구가 포함되었으며, 평가된 중재 방법은 다음과 같았습니다;(1) 백신 주사 전 또는 주사 중 모유 수유(단맛이 나는 용액, 빨기, 안아주기[신체적 편안함] 결합), (2) 국소 마취제, (3) 단맛이 나는 용액(자당 및 포도당), (4) 증기 냉각제, (5) 경구 진통제(아세트아미노펜 및 이부프로펜), (6) 2가지 중재 대 1가지 중재 비교. 관찰자가 평가한 고통 뿐만 아니라 스스로 보고한 통증과 두려움 또한 매우 중요한 결과로 평가되었습니다.7
[Study result] G genotype은 G1(51.5%), G3(24.0%), G4(15.4%), G9(6.4%), G2(4.7%) 순으로 나타났고, P genotype은 P[8](72.6%), P[6](19.1%), P[4](6.0%) 순으로 나타났습니다.2
[Study result] 3세 미만 아동의 연간 평균 장중첩증 발생률은 10만명당 26.2건이었으며, 시간에 따른 유의미한 발생률 변화는 없었습니다. 6세 미만 아동에서 로타바이러스로 인한 입원의 경우, 접종 완료군에서 92.6% 감소(adjusted IRR 0.074, 95% CI 0.05-0.11)를, 부분 접종군에서 79% 감소(adjusted IRR 0.21, 95% CI 0.11-0.40)를 보였습니다.3
[Study result] 로타바이러스 2개 시즌에 걸쳐, 5가 백신 3회 접종 완료 시 백신 효과는 80% (CI, 74%)였습니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백신 유효성은 충분한 데이터로 분석이 가능했던 각 연도에서 관찰되었습니다. (5가 백신의 경우 7년).4
[Study result] 로타텍 1차 접종 14일 이후 G1-G4 RVGE로 인한 입원 및 응급실 방문 건수는 0건(n/N=0/29,417 vs. placebo, n/N=15/29,434; 95% CI efficacy, 72-100%)이었으며, 2차 접종 14일 이후 2건(n/N=2/29,496, efficacy 91%; 95% CI, 63-99%)이었습니다.5
References 1. Angel J, Franco MA, Greenberg HB. Rotavirus vaccines: recent developments and future considerations. Nat Rev Microbiol. 2007;5(7):529–539. 2. Shim JO, et al. Distribution of rotavirus G and P genotypes approximately two years following the introduction of rotavirus vaccines in South Korea. J Med Virol. 2013;85(7):1307-12. 3. McIlhone KA, et al. Impact of rotavirus vaccine on paediatric rotavirus hospitalisation and intussusception in New Zealand: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Vaccine. 2020 Feb 11;38(7):1730-1739. 4. Payne DC, et al. Long-term consistency in rotavirus vaccine protection: RV5 and RV1 vaccine effectiveness in US children, 2012-2013. Clin Infect Dis. 2015;61(12):1792-9. 5. Dennehy PH, et al. Efficacy of the pentavalent rotavirus vaccine, RotaTeq® (RV5), between doses of a 3-dose series and with less than 3 doses (incomplete regimen). Hum Vaccin. 2011;7(5):563–568. 6. 질병관리본부 예방접종도우미. HOME>예방접종 정보>예방접종 알아보기>표준 예방접종 일정표. Available at <https://nip.kdca.go.kr/irhp/infm/goVcntInfo.do?menuLv=1&menuCd=115> Accessed Jan. 23, 2025. 7. Shah V, et al. Pharmacological and Combined Interventions to Reduce Vaccine Injection Pain in Children and Adults: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Clin J Pain. 2015 Oct;31(10 Suppl):S38-63. 8. 질병관리청. 2025년 국가예방접종사업 관리지침 (의료기관용-2권). 2025. 9. 질병관리청. 홈 > 알림 및 자료> 보도자료(전체). [2.17.금.조간] 질병관리청, ‘로타바이러스 백신’ 무료 접종 첫 실시. Available at <https://www.kdca.go.kr/board/board.es?mid=a20501010000&bid=0015&act=view&list_no=721889> Accessed Mar. 12, 2025.
로타텍® [경구용 약독화 로타생바이러스백신(사람-소 재배열)] 주요 안전성 정보(Selected safety information) [사용상의 주의사항] 1. 다음 영아에는 투여하지 말 것. 1) 이 백신의 성분에 대해 과민반응의 기왕력이 있는 영아. 2) 이 백신 투여 후 과민반응이 의심되는 영아에게는 추가적인 투여를 실시해서는 안 된다. 3) 선천성 복부질환, 복부수술, 장중첩증의 병력을 가진 영아. 4) 급성 위장관 질환, 만성 설사로 성장지연이 있는 영아. 5) 면역 결핍이 있거나 의심되는 영아. 6) 중증혼합면역결핍증(SCID)이 있는 영아. 시판 후 중증혼합면역결핍증 영아에게 백신바이러스 관련 위장관염이 보고되었다. [약물이상반응] 1) 빈번히 보고된 이상반응: 체온 상승, 구토, 설사, 보챔(irritability). 2) 매 투여 후 42일 이내에 백신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위약군보다 높게 나타난 이상반응: 설사, 구토, 중이염, 비인두염, 기관지경련 [일반적 주의] 면역 결핍 가능성이 있는 영아들에 대한 이 백신의 안전성 또는 유효성과 관련된 임상시험결과는 없다; 1) 혈액질환, 백혈병, 모든 종류의 림프종 또는 골수나 림프계에 영향을 미치는 악성종양이 있는 영아. 2) 면역억제 치료(고용량의 전신 코르티코스테로이드 투여 포함)를 받고 있는 영아. 국소 코르티코스테로이드나 흡입 스테로이드 제제로 치료를 받고 있는 영아에게는 이 백신을 투여할 수 있다. 3) HIV/AIDS 환자 또는 HIV에 감염 소견이 관찰 되는 등 원발성 혹은 후천성 면역 결핍 상태에 있는 영아, 세포성 면역 결핍증, 저감마글로불린혈증 및 이상감마글로불린혈증인 영아. HIV/AIDS 산모에게서 태어나 HIV 상태가 불확정된 영아에게 이 백신이 투여 가능한지를 뒷받침하는 충분한 임상시험 자료는 없다. 개정년월일: 2021년 5월 6일
※ 다른 백신과 마찬가지로, 로타텍®이 모든 투여자에서 완전한 예방 효과를 보이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보다 자세한 정보는 의료전문인과 상의해주시기 바랍니다.
부작용이 있을 수 있으니 「사용상의 주의사항」을 잘 읽고 의사, 약사와 상의하십시오. 인터넷 의약품 판매행위는 불법입니다.
아래 링크를 연결하실 경우 MSD의 사이트가 아닌 외부 사이트로 이동합니다. MSD는 해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컨텐츠에 대해 책임지지 않습니다.
이동을 원하실 경우 링크를 클릭해주시기 바랍니다. [ 제품설명서전문확인하기 ]
광고심의필 2025-1765-105104
광고심의필 2025-1767-104402
KR-ROT-00495 02/2027